장자크 데살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자크 데살린은 아이티 혁명의 주요 인물로, 아이티의 독립을 이끌고 초대 황제가 된 인물이다. 그는 노예 출신으로, 투생 루베르튀르의 부관으로 혁명에 참여하여 프랑스에 맞서 싸웠으며,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804년 아이티의 독립을 선포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강제 노동, 백인 학살 등의 정책을 펼쳤다. 1806년 암살되었지만, 아이티 국민들에게 긍지를 심어주었으며, 아이티 국가에 그의 이름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티 황제 - 포스탱 술루크
포스탱 술루크는 아이티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1849년 아이티 제2제국을 선포하고 황제 포스탱 1세로 즉위하여 흑인 우대 정책과 부두교 옹호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다 1859년 혁명으로 퇴위 후 망명 생활을 거쳐 아이티로 돌아와 사망했다. - 아이티의 암살된 정치인 - 조브넬 모이즈
조브넬 모이즈는 아이티의 사업가 출신 정치인으로, 2017년부터 2021년 암살당할 때까지 아이티 대통령을 역임하며 인프라 개선 사업을 추진했으나, 부패 혐의와 삶의 질 악화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아이티의 암살된 정치인 - 오레스트 자모르
오레스트 자모르는 1914년 아이티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정치적 불안정과 미국의 압력에 직면하여 짧은 기간 재임 후 축출, 망명, 귀국 후 처형되었다.
장자크 데살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장자크 데살린 |
통치 | |
직위 | 아이티 총독 아이티 황제 |
재임 기간 (총독) | 1804년 1월 1일 – 1804년 9월 2일 |
이전 (총독) | 투생 루베르튀르(1802년) |
이후 (총독) | 자신 (아이티 황제) |
재임 기간 (황제) | 1804년 9월 2일 – 1806년 10월 17일 |
대관식 | 1804년 10월 8일 |
이전 (황제) | 자신 (총독으로서) |
이후 (황제) | 앙리 크리스토프 (아이티 정부 임시 수반) 알렉상드르 페티옹 (아이티 대통령)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758년 9월 20일 |
출생지 | 생도맹그, 그랑드리비에르뒤노르, 코르미에 |
사망일 | 1806년 10월 17일 |
사망지 |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인근 퐁 라르나주 (현재 퐁 루즈) |
배우자 | 마리-클레르 외뢰즈 펠리시테 |
![]() | |
기타 정보 | |
묻힌 날짜 | 1806년 10월 17일 데데 바질에 의해 |
국적 | 아이티 |
2. 식민지 시대의 생애
장자크 데살린의 전기는 전설과 역사가 섞여 있다. 아이티의 전통은 그가 서아프리카 중부에서 태어나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 생도맹그로 노예로서 운송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그가 1758년경에 생도맹그에서 자신의 첫 주인의 이름 장자크 뒤클로(Jean-Jacques Duclos프랑스어)로 태어난 것으로 믿는다.
아이티 혁명의 마지막 단계에서 프랑스군이 축출된 후, 데살린은 아이티 공화국에 남아있는 모든 유럽인(압도적으로 프랑스인[8])에게, 흑인 인구에게 우호적이거나 동정심을 보였던 사람들까지 포함하여, 남녀노소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13] 많은 유색 자유민들도 살해되었다.[14] 그러나 1804년 종신 총독을 선포한 후, 장자크 데살린은 그의 옛 주인 데살린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일자리를 주었다. 장자크는 생도맹그 북부 주 그랑 리비에르 뒤 노르 마을 근처의 콜미에 마을 플랜테이션에서 노예로 태어났다. 부모에 대한 정보는 전해지지 않으며, 숙모 빅토리아 몽투(Victoria Montou)가 그를 '''토야'''라고 부르며 귀여워했다. 그녀는 1805년에 사망할 때까지 조카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2. 1. 노예 생활
장자크 데살린은 1758년경 프랑스령 생도맹그의 그랑드-리비에르-뒤-노르(Grande-Riviere-du-Nord) 근처 설탕 농장인 코르미에(Cormier)에서 태어났다.[12] 그의 아버지는 주인인 앙리 뒤클로(Henri Duclos)의 성을 따랐다. 장자크 부모의 이름과 아프리카 출신 지역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부분의 노예는 서부 및 중앙 서아프리카 출신이었다. 그는 나중에 자신을 사들인 유색 자유인에게서 따온 데살린(Dessalines)이라는 성을 사용했다.사탕수수 밭에서 일하던 데살린은 지휘관 또는 감독관의 지위까지 올랐다. 그는 약 30세까지 뒤클로의 농장에서 일했다. 이후 장자크는 데살린이라는 성을 가진 ''아프랑시''(해방 노예)에게 팔렸고, 이때부터 장자크 데살린(Jean-Jacques Dessalines)으로 불렸다. 데살린은 자유를 얻은 후에도 이 이름을 유지했으며, 약 3년 동안 새 주인을 위해 일했다.
1791년 노예 봉기가 플렌-뒤-노르(Plaine-du-Nord)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곳은 대규모 사탕수수 농장이 있던 지역으로, 대다수의 아프리카인 노예들이 살며 일했다. 사망률이 매우 높아 프랑스 식민지 농장주들은 18세기 동안 아프리카에서 더 많은 노예들을 계속 사들였다. 데살린은 빅토리아 몽투(Victoria Montou)에게서 초창기 군사 훈련을 받았다.
혁명 기간의 갈등 속에서 데살린은 백인과 ''젠 드 쿨뢰르'' (생도맹그의 혼혈 주민)에 대해 점점 더 앙심을 품게 되었다.
3. 아이티 혁명
1791년 생도맹그에서 노예 반란이 일어나 아이티 혁명이 시작되었다. 데살린은 농장을 탈출하여 반란 지도자 투생 루베르튀르에게 합류하였다. 읽고 쓸 줄 몰랐지만, 빠르게 배워 전투에서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처음에는 노예 해방을 위해 싸웠으나, 점차 독립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1793년 프랑스 공화국이 식민지에서 노예제 폐지를 선언하자,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스페인과 영국에 맞서 프랑스에 충성했다. 1799년 데살린은 준장으로 승진했다.[16]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부상하면서 유럽이 혼란스러워지자, 노예 반란은 내전으로 번졌다.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섬 통치를 위해 경쟁자와 노예 소유주들을 제압했다. 1801년 루베르튀르는 아이티 총독, 데살린은 부사령관이 되었다.
1802년 4월, 데살린은 크레트아피에로 전투에서 1,300명의 병력으로 18,000명의 프랑스군에 맞서 요새를 지켰다. 데살린은 탄약고를 폭파하겠다고 위협하며 프랑스군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식량과 군수품 부족으로 20일 후 포위망을 뚫고 퇴각했다.
크레타피에로 전투 후, 데살린은 일시적으로 루베르튀르를 떠나 프랑스 편에 섰다. 1802년 6월 루베르튀르가 체포되자 데살린이 혁명 지도자가 되었다. 10월, 데살린은 프랑스가 노예제 재건을 시도한다는 것을 알고 다시 반란군에 합류했다.
1803년 11월 18일, 데살린은 베르티에르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냈다.[32] 12월 4일, 프랑스 식민지군 잔존병이 모두 항복하면서 흑인 반란은 종결되었다.[32] 1804년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21]
3. 1. 투생 루베르튀르의 부관
1791년 생도맹그에서 노예 반란이 일어나자, 장자크 데살린은 농장을 탈출하여 반란 지도자 투생 루베르튀르에게 합류했다. 글을 읽고 쓸 줄 몰랐지만, 데살린은 빠르게 배웠고 루베르튀르의 부관이 되었다.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처음에는 노예 해방이 목적이었으나, 점차 독립을 추구하게 되었다.[16]1793년 프랑스 공화국이 프랑스와 모든 식민지에서 노예제 폐지를 선언하자,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스페인과 영국에 맞서 프랑스에 충성했다. 이후 10년 동안 데살린의 능력과 리더십은 루베르튀르가 스페인 통치하의 섬 동부 절반을 점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799년까지 데살린은 준장으로 승진했다.[16]
유럽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부상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노예 반란은 내전으로 번졌다.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섬의 통치를 위해 경쟁자와 노예 소유주들을 제압했다. 1801년 루베르튀르는 아이티의 총독이 되었고, 데살린은 부사령관이 되었다. 생도맹그의 많은 백인과 물라토들은 프랑스에 노예제 재건을 압력을 가했고, 나폴레옹은 섬에 프랑스 지배를 회복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크레트아피에로 전투에서 점령군을 격퇴했다.[18]
전투 후, 데살린은 루베르튀르의 리더십에 환멸을 느끼고 잠시 프랑스 편에 섰으며, 1802년 루베르튀르의 체포와 투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프랑스가 노예제를 회복하려 하자, 데살린은 다시 반란군 편으로 돌아섰다. 데살린이 이끄는 흑인과 물라토 연합군은 프랑스군을 항복시키고 섬을 떠나게 하는 데 성공했다. 1804년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21]
3. 2. 프랑스와의 갈등
1791년 생도맹그에서 노예 반란이 일어나자, 장자크 데살린은 농장을 탈출하여 반란 지도자 투생 루베르튀르에게 합류했다. 글을 읽고 쓸 줄 몰랐지만, 데살린은 빠르게 배웠고 루베르튀르의 보좌가 되어 전투에서 용맹함으로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처음에는 섬 전체 노예들의 해방을 위해 싸웠으나, 점차 독립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1793년 프랑스 공화국이 프랑스와 모든 식민지에서 노예제 폐지를 선언하자,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스페인과 영국에 대항하여 프랑스에 충성을 바쳤다. 이후 10년 동안 데살린의 실력과 리더십은 루베르튀르가 스페인 통치하의 섬 동부 절반을 점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799년까지 데살린은 준장 계급으로 승진했다.[16]
유럽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부상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노예 반란은 내전으로 번졌다.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섬의 통치를 위해 경쟁자와 노예 주인들을 제압했다. 1801년 루베르튀르는 아이티의 총독이 되었고, 데살린은 부사령관이 되었다. 생도맹그의 많은 백인과 물라토들은 프랑스에 노예제 재건을 압박했고, 나폴레옹은 섬에 프랑스의 지배를 회복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크레트아피에로 전투에서 점령군을 격퇴했다.
전투 후, 데살린은 루베르튀르의 리더십에 환멸을 느끼고 잠시 프랑스 편에 섰으며, 1802년 루베르튀르의 체포와 투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19] 프랑스가 노예제를 회복시키려 한다는 것이 명확해지자, 데살린은 다시 편을 바꾸어 프랑스군에 대항하는 반란군을 지휘했다. 데살린의 흑인과 물라토 연합군은 일련의 승리를 거두며 프랑스군을 항복시키고 섬을 떠나게 했다. 1803년 11월 18일 데살린과 알렉상드르 페티옹이 이끄는 흑인 및 물라토 부대는 북부 카프-프랑세 부근의 베르티에르 요새에 갇힌 로샹보가 이끄는 프랑스군을 공격했다. 로샹보와 그의 부대는 다음 날 항복했다. 12월 4일에는 나폴레옹의 프랑스 식민지군의 잔존병 모두가 데살린의 군대에 항복하면서 세계 유일의 성공적인 흑인 반란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32] 1804년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21]
3. 3. 독립 투쟁의 지도자
1791년 생도맹그에서 노예 반란이 일어나자, 장자크 데살린은 농장을 탈출하여 반란 지도자 투생 루베르튀르에게 합류했다. 글을 읽고 쓸 줄 몰랐지만, 데살린은 빠르게 배웠고 루베르튀르의 보좌관이 되어 전투에서 용맹함으로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처음에는 노예 해방이 목적이었으나, 점차 독립을 추구하게 되었다.[16]1793년 프랑스 공화국이 식민지에서 노예제 폐지를 선언하자,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스페인과 영국에 맞서 프랑스에 충성했다. 이후 10년 동안 데살린의 능력과 리더십은 루베르튀르가 섬 동부를 점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99년 데살린은 준장으로 승진했다.[16]
유럽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부상으로 혼란스러운 동안, 노예 반란은 내전으로 번졌고,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경쟁자와 노예 소유주들을 진압했다. 1801년 루베르튀르는 아이티 총독, 데살린은 부사령관이 되었다. 생도맹그의 백인과 물라토들은 프랑스에 노예제 재건을 압박했고, 나폴레옹은 군대를 보내 프랑스 지배를 회복하려 했다. 루베르튀르와 데살린은 크레트아피에로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했다.[18]
전투 후, 데살린은 루베르튀르의 리더십에 환멸을 느껴 잠시 프랑스 편에 섰고, 1802년 루베르튀르의 체포를 야기했을 가능성이 있다.[19] 프랑스가 노예제를 회복하려 하자, 데살린은 다시 반란군을 지휘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1804년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21]
데살린은 베르티에르 전투 등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아이티 독립 투쟁의 지도자로 자리매김했다.[22] 1803년 11월 18일 데살린과 알렉상드르 페숑이 이끄는 흑인 및 물라토 부대는 북부 카프 프랑세 부근의 베르티에르 요새에 갇힌 프랑스군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냈다.[32] 12월 4일 프랑스 식민지군 잔존병 모두가 항복하면서 흑인 반란은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32]
4. 아이티의 황제
데살린은 황제로서 아이티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여러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경제 발전을 위해 농장 노동을 강요하고 독재를 시작했다. 생존 경제로의 회귀를 막고자 강제 노동 제도를 시행했다. 또한, 백인들의 지배를 막기 위해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고 소유를 금지했다. 1804년 2월부터 4월까지는 모든 연령과 성별의 약 3,000명에서 5,000명에 달하는 백인들을 학살하도록 명령했다.
데살린은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해외 무역을 엄격하게 규제했으며, 프랑스보다는 영국과 미국과의 무역을 선호했다. 또한, 주로 물라토 출신의 교육받은 아이티인들을 행정부 요직에 배치했다.
4. 1. 제정 선포와 통치
1804년 1월 1일, 데살린은 고나이브에서 공식적으로 옛 식민지의 독립을 선포하고, 원주민 타이노의 이름을 따서 "아이티"로 국명을 변경했다. 그는 1803년 11월 30일부터 생도맹그 총독으로 재직했다.[1] 독립 선언 후, 데살린은 자신을 아이티 종신 총독으로 임명했으며, 1804년 9월 22일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 그 후 아이티 혁명군 장군들에 의해 아이티 제국 황제로 선포되었다.[1] 그는 10월 6일 르 케이프(현재 카프아이시앵)에서 대관식을 통해 황제 자크 1세로 즉위했다. 1805년 5월 20일, 그의 정부는 제국 헌법을 발표하여 장자크 데살린을 그의 후계자를 지명할 권한을 가진 종신 황제로 명시했다.
황제로서 데살린은 아이티가 독립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생존 경제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강제 노동 제도를 집행하였다. 백인들에 의한 지배를 제거하기 위해 그는 그들의 대지를 몰수하여 그들이 재산을 소유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다. 아마 그의 가장 극단적인 조치는 아이티의 백인 인구를 없애는 것이었다. 1804년 2월과 4월 사이에 데살린은 모든 나이와 성별의 대략 3000명부터 5000명의 백인들의 살해를 명령하였다.
데살린은 또한 아이티의 경제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혁을 시도하였다. 그는 해외 무역의 엄격한 규제를 집행하였고 프랑스보다 영국과 미국과 함께 무역을 선호하였다. 그는 주로 물라토들이었던 좋은 교육을 받은 아이티인들을 자신의 행정부에서 주요 직위에 놓았다.
4. 2. 경제 정책과 강제 노동
데살린은 아이티가 독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생존 경제로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강제 노동 제도를 시행했다. 백인들의 지배를 막기 위해 그들의 토지를 몰수하고 재산 소유를 불법으로 만들었다. 1804년 2월부터 4월 사이에 데살린은 모든 연령과 성별의 약 3,000명에서 5,000명의 백인들을 살해하라고 명령했다.데살린은 아이티 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해외 무역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프랑스보다 영국과 미국과의 무역을 선호했다. 그는 주로 물라토였던 교육받은 아이티인들을 행정부의 주요 직위에 임명했다.
데살린은 역사가 미셸-롤프 트루요가 "농업적 군국주의"라고 묘사한 가혹한 농장 노동 체제를 시행했다. 투생 루베르튀르처럼 데살린은 모든 흑인들이 군인이나 농장 노동자로 일할 것을 요구했다. 그의 군대는 이를 엄격하게 시행하여 일부 흑인들은 다시 노예가 된 것처럼 느끼기도 했다.
데살린은 아이티의 설탕 및 커피 기반 수출 경제에 필수적인 대외 무역의 엄격한 규제를 믿었다. 투생 루베르튀르처럼 데살린은 프랑스 상인보다 영국과 미국의 상인들을 장려했다. 그는 교육받은 아이티인들을 행정부의 관리자와 경영자로 임명했다.
자크 1세는 노예제 없이 설탕 플랜테이션 및 공장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모든 흑인에게 군인으로서 국가를 지키거나 농원이나 밭에서 일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또한 무역 규제를 믿었는데, 설탕과 커피 수출에 의존한 아이티에게 그것은 필수적이었다. 그는 프랑스보다 영국이나 미국과의 무역을 원했다.
4. 3. 백인 학살과 인종 정책
황제로서 데살린은 아이티가 독립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생존 경제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강제 노동 제도를 시행하였다. 백인에 의한 지배를 제거하기 위해 그는 그들의 대지를 몰수하여 재산을 소유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다. 아마 그의 가장 극단적인 조치는 아이티의 백인 인구를 없애는 것이었다. 1804년 2월과 4월 사이에 데살린은 모든 나이와 성별의 대략 3000명부터 5000명의 백인들의 살해를 명령하였으며,[3] 이 사건은 1804년 아이티 학살로 불리게 되었다.[8]30년 동안 식민 지배자 밑에서 노예로 복무하고 많은 잔학 행위를 목격한 데살린은 식민 지배자를 신뢰하지 않았다.[3] 1805년 아이티 헌법에서 데살린은 아이티를 흑인 국가로 선포하고 백인 식민지인들이 그곳에서 재산이나 토지를 소유하는 것을 금지했다.[7] 백인 식민지인에게 속한 재산은 "부인할 수 없는 권리에 의해 국가의 이익을 위해 몰수"된 것으로 선언되었다.[25]
자크 1세는 노예제 없이 설탕 플랜테이션 및 공장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노예로 태어나 프랑스인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다. 그는 권력을 잡자 수 세기에 걸친 만행에 대한 보복과 흑인의 국가인 아이티가 다시 노예제로 돌아갈 위협에서 모든 프랑스인의 처형을 요구했다. 황제는 아이티를 흑인 국가라고 선언하고 백인이 자산이나 토지를 소유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 법은 아이티의 자긍심의 상징이다.
자크 1세는 역사가들에게 ''caporalisme agraire'' (농업 군사주의)로 기록된 것처럼 플랜테이션 노동을 엄격하게 추진했다. 그는 모든 흑인에게 군인으로서 국가를 지키거나 농원이나 밭에서 일할 것을 요구했다.
4. 4. 물라토와의 관계
데살린은 통치에 있어서 읽고 쓸 수 있으며 교육을 받은 인재를 장교나 경영에 요구하였다. 그러한 배치를 하자 밝은 피부의 엘리트(물라토)가 그러한 지위를 독점했다.[1] 그는 주로 물라토들이었던 좋은 교육을 받은 아이티인들을 자신의 행정부에서 주요 직위들에 놓았다.[1]5. 암살과 유산
데살린은 폭력적인 통치를 펼쳤지만, 아이티 국민들에게 긍지를 심어주었다. 그의 사망일인 10월 17일은 아이티에서 국경일이다. 데살린의 유산은 아이티의 국가 데살린의 노래에 잘 나타나 있다.[10][11] 19세기 대부분 동안 데살린은 독재적인 통치로 인해 아이티인들에게 혐오의 대상이었지만, 20세기 초부터 아이티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1903년에 작곡된 아이티의 국가 "La Dessalinienne|라 데살리니엔프랑스어"은 그의 이름을 기려 지어졌다.
포르토프랭스(프랑스어: Port-au-Prince)의 주요 도로(그랑드-뤼, 프랑스어: Grande-Rue)는 그의 이름을 기려 장자크 데살린 대로(프랑스어: Boulevard Jean-Jacques-Dessalines)로 개명되었다. 이 도로는 시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주요 상업 지구이다. 아이티의 많은 거리와 도로는 데살린, 장자크 또는 자크 1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포르토프랭스, 고나이브, 카파이시앵 등 아이티의 여러 도시와 옛 대가 콜롬비아에도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5. 1. 암살 배경과 정황
데살린의 사망에 대한 정확한 정황은 불확실하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농민, 엘리트층, 군대를 포함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그의 가혹한 노동 및 농업 정책에 불만을 품었다. 1806년 10월 17일, 데살린은 알렉상드르 페시옹과 앙리 크리스토프가 이끈 매복에 의해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6]알렉상드르 페티옹과 앙리 크리스토프를 포함한 데살린 행정부의 불만 세력은 황제 타도를 위한 음모를 꾸몄다. 1806년 8월, 아이티 남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같은 해 10월 17일 수도 포르토프랭스 북쪽의 라르나주(현재 퐁 루즈)에서 반군과 싸우러 가던 데살린이 암살되며 절정에 달했다.
몇몇 역사가들은 데살린이 젊은 국가의 권력과 미래를 협상하기 위한 회의 후 뤼 랑테르망에 있는 페티옹의 집에서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데살린은 총에 맞고 칼에 찔렸으며, 옷이 벗겨지고 손가락이 잘린 채 시신이 포르토프랭스로 옮겨져 군중들에게 돌에 맞았다.[26] 다른 보고서는 그가 체포되어 머리에 치명적인 일격을 당했다고 전한다.[27] 또 다른 보고서는 매복 공격을 받아 첫 발에 살해되었다고 한다.[28] 데살린에 대한 부하들의 잔혹한 공격을 회상하는 기록에 따르면, 총에 맞은 후 칼에 머리가 갈라지고 단검으로 세 번 찔렸으며, 군중들은 "폭군이 죽었다!"라고 외쳤다.[29] 대부분의 보고서는 살해된 후 군중들이 데살린의 시신을 공개 광장에서 사지 절단했다고 전한다.[30]
여러 현대 자료에 따르면 데살린 암살 후 적절한 매장을 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있었지만, 데데 바질이라는 비방디에르프랑스어가 황제의 훼손된 시신을 모아 생트안 교회 시메티에르 앙테리얼에 묻었다. 에티엔 제린의 아내는 "시-지 데살린, 모르 아 48 안"(Ci-git Dessalines, mort à 48 ans, "여기에 데살린이 잠들다, 48세에 사망")이라는 비문이 새겨진 무덤을 세웠다.[30] 데살린의 시신은 나중에 페티옹의 시신과 함께 샹 드 마르스에 있는 '오텔 드 라 파트리'(국가의 제단)로 옮겨졌다. 아이티 수도 북쪽 입구에 있는 기념비는 황제가 살해된 장소를 표시한다.[30]
이 암살은 아이티 정부 내의 긴장을 해소하지 못했다. 그의 살해는 권력 공백을 남겼고 내전이 뒤따랐다. 페티옹과 크리스토프는 일시적으로 아이티를 분할하여, 페티옹은 더 많은 ''쟁 드 꿀레르 리브르''가 있던 남부를 통제했다.[30]
5. 2. 유산과 재평가
데살린은 가혹한 노동 및 농업 정책으로 인해 농민, 엘리트층, 군인 등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불만을 샀다. 1806년 10월 17일 알렉상드르 페시옹과 앙리 크리스토프가 주도한 매복에서 살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11]데살린은 폭력적인 통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티 국민들에게 긍지를 심어주었다. 그의 사망일인 10월 17일은 아이티에서 국경일로 지정되어 있다. 아이티의 국가인 데살린의 노래는 데살린의 유산을 담고 있다.[10][11] 19세기 대부분 동안 데살린은 독재적인 통치 방식으로 인해 아이티인들에게 혐오의 대상이었지만, 20세기 초부터 아이티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1903년에 작곡된 아이티의 국가 La Dessalinienne|라 데살리니엔프랑스어은 그의 이름을 기려 지어졌다.[10][11]
포르토프랭스(프랑스어: Port-au-Prince)의 주요 도로(그랑드-뤼, 프랑스어: Grande-Rue)는 그의 이름을 기려 장자크 데살린 대로(프랑스어: Boulevard Jean-Jacques-Dessalines)로 개명되었다. 이 도로는 시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주요 상업 지구이다. 아이티의 많은 거리, 가로, 대로가 데살린, 장자크 또는 자크 1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포르토프랭스, 고나이브, 카파이시앵, 그리고 아이티의 다른 많은 도시와 옛 대가 콜롬비아에도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페숑과 크리스토프를 포함한 자크 1세의 정권에 불만을 품은 자들이 황제를 타도하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 1806년 10월 17일 자크 1세는 반란 진압을 위해 수도 포르토프랭스 북쪽의 퐁-랄르나주(현재는 퐁-루주로 알려짐)에서 암살당했다. 여러 역사가들은 자크 1세가 실제로는 란테르만 가의 페숑 집에서 국가 권력과 미래에 대해 협의한 후에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 포르토프랭스 북쪽 현관에는 황제가 살해된 장소의 기념비가 세워졌다.
복잡한 출신의 데피레라는 여성이 황제의 시신을 매장했다. 여러 세대에 걸쳐 하이티인들에게 비난의 대상이었던 자크 1세는 20세기에 재평가되어 명문 경력 및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하이티의 국가 「데살린의 노래」는 데살린 시처럼 자크 1세를 기념하고 있다. 또한, 2004년부터 250 구르드 지폐에 초상이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azette Politique et Commerciale D'Haïti
http://ufdcimages.uf[...]
P. Roux, Imprimeur de L’Empreur
2017-10-12
[2]
간행물
Caribbean genocide: racial war in Haiti, 1802–4
https://doi.org/10.1[...]
2005
[3]
서적
Identity and Ideology in Haiti: The Children of Sans Souci, Dessalines/Toussaint, and Pétion
https://www.research[...]
Routledge
2023-08-15
[4]
간행물
Toussaint Louverture, In the Name of Dignity. A Look at the Trajectory of the Precursor of Independence of Haiti
https://journals.ope[...]
2021-04-30
[5]
간행물
Caribbean genocide: racial war in Haiti, 1802–4
https://doi.org/10.1[...]
2005
[6]
서적
Colonialism and Genocid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10-22
[7]
서적
Avengers of the New World: The Story of the Haitian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Slaves Who Defeated Napoleon: Toussaint Louverture and the Haitian War of Independence 1801–1804
University of Alabama Press
[9]
기타
[10]
웹사이트
6130.- Symboles d'Haiti: Hymne National » Haiti-Référence
https://www.haiti-re[...]
2022-01-25
[11]
서적
The Garland Handbook of Latin American Mus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09
[12]
웹사이트
Jean Jacques Dessalines
http://www.educando.[...]
Educando
2007-03
[13]
서적
Encyclopedia of the African Diaspora: Origins, Experiences, and Culture. A–C. Vol. 1
https://books.google[...]
ABC-CLIO
[14]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Caribbean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Inc.
[15]
서적
Haiti: State Against Nation
Monthly Review Press
[16]
웹사이트
French Emancipation
https://www.oxfordbi[...]
2019-10-27
[17]
서적
Arrogant Armies Great Military Disasters and the Generals Behind Them
Castle Books
[18]
웹사이트
Jean Jacques Dessalines
https://lasentinel.n[...]
2020-05-12
[19]
간행물
Jean-Jacques Dessalines and the Atlantic System: A Reappraisal
http://www.niu.edu/h[...]
Omohundro Institute of Early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2014-12-10
[20]
서적
Silencing the Past: Power and the Production of History
Beacon Press
[21]
웹사이트
Chapter 6 – Haiti: Historical Setting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2006-09-18
[22]
서적
White Fury: A Jamaican Slaveholder and the Age of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The Monroe Doctrine in its Relation to the Republic of Haiti
https://books.google[...]
Neale Publishing Company
2023-04-07
[24]
서적
Black Jacobins
Penguin
[25]
서적
Haiti: The Breached Citadel
Canadian Scholars' Press
[26]
기타
[27]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Dessalines
https://web.archive.[...]
1825-10
[28]
서적
The Rising Son
[29]
서적
Histoire of Haiti
Henri Dechamps
[30]
서적
The World of the Haitian Revolu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Independent Haiti
http://www.kreyol.co[...]
2006-11-27
[32]
웹사이트
Chapter 6 - Haiti: Historical Setting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2006-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